Think with Google 참가 후기 3번째 ”유튜브 황금 시간대를 재정의하다’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think with google 세미나 중 구글 검색과 광고에 대한 글도 있습니다.
숫자 정리
- 2017년 9월부터 한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앱 1위 : 유튜브
- 1인당 유튜브 하루 사용시간은 38분
- 10분에 5천시간 분량의 영상이 업로드
- 띠에의 ‘바다포도 먹어보기’ 영상 하나의 조회 수는 1천240만 회
현재 가장 대세 플랫폼 ‘유튜브’
- 17년 9월부터 지금까지 한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앱 1위를 놓친 적 없음
- 1인당 유튜브 하루 사용시간은 38분
- 18년 1월 ~ 19년 1월까지의 유입량은 총 3천313만 건(이건 정확하지 않음), 체류시간은 352억분
- 예전의 TV 프라임타임은 개인이 선택하지 못했지만 현재는 유튜브를 통한 Personal Primetime 시대.
- 10분에 5천시간 분량의 영상이 업로드됨
유튜브 황금 시간대 재정의 – ‘Personal Prime time’

내가 원하는 다양한 스타일
- 한 가지 주제, 대상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취향과 니즈에 맞는 영상을 골라볼 수 있음.
- 예를 들어, ‘BTS’ 관련 영상도 뮤직비디오, 무대, 안무연습, 뮤직비디오 리액션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하고, 드라마 ‘스카이캐슬’도 드라마 하이라이트, 등장인물 소개, 대본리딩, 종방연 등 여러 형식을 제공하고 있음.
내가 필요한 목적에 맞는 콘텐츠
- 유튜브에서는 개개인의 각기 다른 목적에 맞는 다양한 콘텐츠를 선택하여 즐기는 것이 가능.
- ASMR(자율 감각 쾌감 반응 :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의 유명한 크리에이터인 띠에의 ‘바다포도 먹어보기’ 영상 하나의 조회 수는 1천240만 회
- 최근 유튜브 트렌드 중 하나는 GRWM(Get Ready with me – 같이 준비해요)이며 등교, 요리 등 일상 속 다양한 일의 준비를 함께하는 영상
내가 원할 때 언제 어디서나
- 모바일 기기를 통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음.
- 최근에 TV를 통한 콘텐츠 소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
Personal Primetime 시대에 유튜브 광고 운영 전략

디렉터믹스를 사용한 광고 사례(메시지를 이용하라)
; 디렉터믹스는 광고주가 개인별 맞춤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유튜브 광고 솔루션
현대캐피탈 눈썰미(美)인 사례

- 게재위치, 주제, 키워드 타깃팅을 기반으로 56개의 차별화된 메시지를 전달해, 일반 트루뷰 인스트림 캠페인 대비 브랜드 선호도, 구매 고려도, 구매 의도에서 모두 개선된 성과를 거둠.
- 광고 스킵 없이 영상 보는 비율(VTR:View Through Rage)가 65% 증가
- 일반 트루뷰 인스트림 캠페인 대비해 브랜드 선호도 24% , 구매 고려도 46% , 구매의도 27% 각각 개선
에잇세컨즈(8seconds) 사례

- 주제타겟팅, 키워드 타게팅, 요일 타켓팅을 기반으로 34개의 차별화된 메시지 전달
- 일반 트루뷰 캠페인 론칭 이후 디렉터믹스 캠페인으로 변경. 이후 트루뷰 대비 광고 상기도 17.5%, 브랜드 인지도 53.1%, 브랜드 선호도 21.5% 각각 증가
트루뷰 디스커버리 캠페인을 활용한 사례 발표(가장 적절한 타이밍을 잡아라)
; 트루뷰 디스커버리 캠페인은 다양한 광고 및 제품 후기 영상를 활용하여 특정 제품을 적극적으로 찾는 순간에 광고 노출
G마켓 연간 캠페인 사례

- 2018년 G마켓 유튜브 채널 구독자 수는 20% 증가
- 이는 같은 비용을 소진할 경우 트루뷰 인스트림 대비 평균 40배임
크리넥스 마스크 캠페인의 미세먼지 API 사례
- 클리넥스는 구글 광고(Google Ads)와 미세먼지 API를 연결해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광고 노출량을 조절함
-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경우 크리넥스 마스크 광고가 높게 노출되게 세팅
비디오 애드 시퀀싱 캠페인 사례(개별 소비자 집중도를 극대화하라)
현대자동차 수소차 ‘넥쏘(Nexo)’ 캠페인 사례
- 총 6개의 제품 USP(Unique selling proposition) 영상을 비디오 애드 시퀀싱 솔루션을 통해 노출해서 개별 소비자의 집중도를 극대화함
- Seed 영상(본 영상)을 스킵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5개의 시퀀스 영상을 별도 제공해 도달률을 높임.
- 유튜브 베타 솔루션인 Related Video Extensions를 사용한 결과 일반 트루뷰 인스트림 영상 대비 광고 상기도는 2.3배, 클릭률은 8.8배 각각 증가함
(끝)
미디어의 온라인 전략과 수익화를 고민합니다.
▲ 약력
– 2021년 Google YouTube Sustainability Lab with Google News Initiative 참여
– 2021년 Google Asia Pacific Audience Lab에서 audience analysis, making persona, Search Engine Optimization 참여
– 2019년 Google Korea와 Google SEO project 참여
– 2017년부터 거북이 미디어 전략 연구소 운영
– 2015년부터 매체에서 온라인 광고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