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의 온라인 전략과 수익화를 고민합니다.

구글이 알려주는 구글 SEO 가이드

구글 검색 센터 소개된 글을 기반으로 기본적인 SEO 가이드를 정리했습니다

구글 SEO를 위한 200개 리스트 완벽 정리같은 글을 먼저 읽으시는 것보다는 기본 검색최적화 가이드를 먼저 일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검색엔진 최적화(SEO) 기본가이드 원문을 직접 읽어보시는 것도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하는데 유리한 것 같습니다

SEO(검색엔진최적화)는 무엇인가

SEO란 검색엔진최적화(Search Engine Optimization) 의 약자로 웹사이트의 이곳저곳을 약간씩 개선해 검색엔진이 콘텐츠를 잘 이해해서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말합니다

SEO가 중요한 이유는 웹사이트를 최적화해 돈을 내고 광고하는 것보다 나은 효과를 낼 때가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인이라는 취업사이트는 2015년 서치콘솔 등록과 크롤링 오류 수정만으로 검색 트랙픽을 15% 늘렸다고 합니다. 사람인은 이후에도 불필요한 키워드로 구성된 메타태그 삭제, 표준 URL의 사용, 중복 콘텐츠 삭제와 사이트에 적합한 구조화된 데이터를 적용해 2019년 채용 시즌에는 구글 검색을 통한 자연 트래픽이 102%, 자연 트래픽을 통한 신규 회원 가입 93% 증가, 자연 트래픽을 통한 전환율이 9% 증가했다고 합니다

위와 같이 사람인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 진행하는 것이 SEO입니다

SEO 가이드 내 검색 최적화를 위한 도구 모음

1단계 – 구글 서치 콘솔 이용하기

구글서치 콘솔에 가입하셔야 합니다

서치콘솔에 보유한 사이트를 추가하고 소유권 확인 절차를 진행하시고 나면 SEO를 시작하게 됩니다

서치콘솔의 메뉴를 설명한 글도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서치콘솔은 아래와 같은 일을 합니다

  • 사이트에서 Googlebot이 크롤링하는 데 문제가 있는 부분 확인
  • 사이트맵 테스트 및 제출
  • robots.txt 파일 분석 또는 생성
  • Googlebot이 이미 크롤링한 URL 삭제
  • 선호 도메인 지정 – [updated] 지정하지 않아도 구글이 직접 지정하도록 변경됨
  • 제목 및 설명 메타 태그 문제 식별
  • 사이트에 도달하는 데 사용된 인기 검색어 파악
  • Googlebot이 페이지를 보는 방법 확인
  • 품질 가이드라인 위반 통지 수신 및 사이트 재검토 요청

사이트맵으로 구글이 내 콘텐츠를 찾도록 한다

사이트맵은 웹사이트에 있는 페이지, 동영상 및 기타 파일과 그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파일입니다

사이트맵은 사이트 내 페이지가 500개 이하일 경우에는 필요없다고 하지만 필수적으로 생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이트맵을 생성하면 구글 서치 콘솔에 업로드하셔야 합니다

구글에 크롤링하면 안되는 페이지 알리기

민감하지 않은 정보라면 robots.txt를 사용하여 원치 않는 크롤링을 차단합니다

민감한 정보라면 noindex나 비밀번호를 사용해야 합니다

구글이 내 콘텐츠를 더 잘 이해한다

URL 검사도구를 사용해 구글과 사용자가 내 콘텐츠를 이해하도록 돕기

웹사이트를 크롤링해가는 구글봇을 사용자라고 생각해 콘텐츠를 구성하고 사이트 구조를 쌓아가는 게 좋습니다

웹사이트의 렌더링과 색인 생성을 최적화하려면 Googlebot이 웹사이트에서 사용하는 자바스크립트, CSS, 이미지 파일에 항상 액세스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합니다

서치콘솔 내에 있는 URL 검사도구를 사용해 구글 색인이 생성된 특정 페이지 정보에서 AMP 오류, 구조화된 데이터 오류, 색인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수정해야 합니다

구글 검색의 3단계와 용어 설명하기

1. 크롤링
크롤링은 신규 또는 업데이트된 웹페이지를 찾는 프로세스를 말합니다. Google은 링크를 따라가거나, 사이트맵을 읽거나, 다른 여러 방법으로 URL을 찾아냅니다

2. 색인
– Google에서는 알고 있는 모든 웹페이지를 색인에 저장합니다. 각 페이지의 색인 항목은 해당 페이지의 콘텐츠 및 위치(URL)를 명시합니다. Google에서 페이지를 가져와서 읽고 색인에 추가하면 색인이 생성됩니다. 예: Google에서 오늘 내 사이트의 페이지 색인을 생성했다.

3. 결색 결과 게재
사용자가 Google 검색을 실행하면 Google에서는 가장 높은 품질의 검색결과를 결정하려고 합니다. ‘최고의’ 검색결과에는 사용자 위치, 언어, 기기(데스크톱 또는 휴대전화), 이전 검색어를 비롯한 여러 요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전거 수리점’을 검색하면 파리에 있는 사용자와 홍콩에 있는 사용자는 서로 다른 답이 표시됩니다. 사이트의 순위는 알고리즘 방식으로 결정됩니다.

타이틀 태그, 디스크립션 태그, 헤딩 태그

타이틀 태그<title tag>는 사용자와 검색엔진에 특정 페이지의 주제가 무엇인지 알려 줍니다

사이트의 페이지마다 간단하고 설명이 담긴 고유한 제목을 만들어줍니다

디스크립션 태그<description tag>는 페이지 내용을 요약해서 제공합니다

구글이 디스크립션 태그를 스니펫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가장 좋은 것은 추천 스니펫으로 등록되는 것입니다만

디스크립션 태그에는 페이지를 정확하게 요약하고 고유한 설명을 사용해야 합니다

추천 스니펫 양식
추천 스니펫 양식

헤딩 태그(heading tag)를 사용해 사용자가 쉽게 문서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합니다

구조화된 데이터 마크업 추가하기

구조화된 데이터(structured data)는 사이트 페이지에 추가할 수 있는 코드로, 검색엔진에 콘텐츠를 설명해주기 때문에 웹사이트 콘텐츠가 검색 결과에 더 잘 표시될 수 있습니다

구조화된 데이터는 뉴스나 블로그 기사, 책, 요리법, 영화, 교육과정, 리뷰, 채용정보, 이벤트, FAQ, 하우투, 지역의 비즈니스 정보, 사이트링크 검색창 등을 알려줘 웹사이트의 성격에 최적화된 구글 검색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구글 리치 결과 테스트를 사용해 구조화된 데이터 구현에 실수가 있는지 확인하면 이를 수정해야 합니다

구조화된 데이터 사용에 따른 구글 검색 결과-도서
구조화된 데이터 사용에 따른 구글 검색 결과-도서

구조화된 데이터에 마크업을 추가할 수 있는 도구로는 마크업 도우미데이터 하이라이터 같은 도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 검색 결과에 사이트 표시 방식을 관리한다

추천 방안들

  • 모든 웹사이트에서 https://를 사용한다
  • 일반적으로 이메일에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한다
  • 서치콘솔에 웹사이트를 추가할 때 ‘www.gobooki.net’과 ‘gobooki.net’처럼 www 버전과 www가 아닌 버전을 모두 등록한다
  • 구조화된 breadcrumb(탐색경로) 데이터 마크업으로 작성한 breadcrumb 리스트를 사용해 사용자와 구글이 사이트를 잘 이해하도록 한다. 검색이 없이도 페이지를 찾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사용자를 위한 간단한 네비게이션 페이지를 만들어준다. 이건 페이지 내에 사이트맵을 만들라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 구글봇을 위해서는 사이트맵을 XML로 생성해 서치콘솔에 업로드합니다
  • 콘텐츠가 없거나 잘못된 URL을 입력해 존재하지 않는 페이지로 이동할 경우 맞춤 404 페이지를 표시합니다. 404 페이지에는 루트 페이지로 연결되는 링크가 있어야 합니다
  • 기호같은 URL이 아닌 단어로 이뤄진 URL을 사용한다(한국에서는 한글 URL이 깨지는 문제 때문에 어려운 문제입니다)
  • URL이 검색결과에 표시되기에 간단한 URL을 추천
  • 문서에 연결되는 URL은 하나만 사용하는 것이 적절. 여러 URL을 사용할 경우 기본 URL로 연결하는 301 리디렉션을 설정. 리디렉션이 어렵다면 표준 URL 또는 ‘rel=”canonical” 링크 요소를 사용한다

아래는 breadcrumb 예제입니다

Breadcrumb 탐색경로를 사용한다
Breadcrumb 탐색경로를 사용한다

콘텐츠를 최적화하고 사용자 신뢰를 구축한다

  • 블로그, 소셜 미디어 등에 공유를 활성화할 경우 구글 내 사이트 평판을 높여줌
  • 검색어를 통해 독자가 찾는 정보를 제공하기
  • 한 페이지에 주제를 잘 구성하기 위해 단락, 부제목, 레이아웃을 활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다 빠르게 찾도록 한다
  • 새로운 콘텐츠를 업데이트한다
  • 전문성을 알려주기 위해 권위있는 출처를 제시하기
  • 작성하는 주제에 대해 처음부터 끝까지 정보를 제공하기
  • 웹사이트를 사용하기 어렵게 만들거나, 전면 광고하는 등 나쁜 광고를 피하기
  • 좋은 앵커 텍스트(링크 텍스트)를 작성해 연결된 페이지의 내용을 알려주기
  • 내부 링크용 앵커 텍스트를 사용해 사용자와 구글이 사이트를 탐색하기 쉽게 하기
  • 나쁜 사이트를 링크해 대상 사이트에 내 사이트 평판을 넘겨주는 것을 방지하기. nofollow 사용
nofollow
– 댓글을 nofollow 처리해 스팸사이트 등에 내 사이트의 검색평판을 나누지 않음
– nofollow는 연구를 많이 하고 진행해야 함

이미지 최적화하기

  • 이미지는 CSS가 아닌 html 이미지 요소인 <img> 또는 <picture> 요소를 사용한다
  • <picture> 요소는 반응형 이미지를 위한 다양한 화면 크기에 여러 옵션 지정 가능
  • 이미지에 레이지 로딩을 반영해 사용자가 페이지를 더 빠르게 로드하게 한다
  • 이미지와 관련한 설명을 제공하는 파일 이름과 대체 텍스트(Alt 속성)을 사용한다. Alt 속성은 이미자가 표시되지 않을 때 대신 나오는 텍스트를 지정할 수 있다. Alt 속성은 앵커텍스트와 비슷하게 취급된다
  • 서치콘솔에 이미지 사이트맵을 업로드하면 이미지 검색결과에 이미지가 표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 jpeg, gif, png, bmp, webP 등 표준 이미지 형식을 사용한다 파일 이름 확장자를 파일 유형과 일치시키면 좋다

사이트를 모바일 친화적으로 만든다

구글은 2016년부터 웹사이트 콘텐츠의 모바일 버전을 주로 사용해 검색 순위를 지정하고 구조화된 데이터를 만들고 스니펫을 시험해왔습니다

2019년 7월부터는 새로운 도메인은 모바일 우선 인덱싱하는 것을 기본으로 변경했습니다

모바일웹 제작 방식 사전 검토

Categories IT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