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기본법이 언론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 정부는 2025년 1월 21일 인공지능기본법(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을 공포했습니다. 유럽연합에 이은 세계 두번째 법안이라고 합니다. 시행일은 2026년 1월 22일로, 1년간의 유예기간을 두었습니다.이 법은 2024년 11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이 상정한 대안을 본회의에서 통과시킨 결과이며, 유예기간 동안 관련 제도와 시행령을 준비하도록 한 것입니다. 인공지능기본법의 취지와 내용 그리고 언론사에 미칠 영향을 정리했습니다. 인공지능기본법의 목적과 … 더 읽기

포털 아웃링크 의무화법이란 무엇인가

2025년 9월 1일, 최민희 의원이 대표 발의한 ‘포털 아웃링크 의무화법’(신문 등의 진흥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은 온라인 뉴스 유통 구조의 전환을 예고하는 입법입니다. 이 글에서는 해당 법안의 핵심 내용과 포털 및 언론사, 구글 디스커버에 미칠 영향을 종합적으로 정리합니다. 포털 아웃링크 의무화법 내용 포털 아웃링크 의무화법의 영향 부정적인 영향 네이버와 다음에 미칠 영향 구글의 한국 내 뉴스 … 더 읽기

독자 AI 정예팀의 목표와 전략 총정리(네이버 클라우드·LG AI연구원·SK텔레콤·업스테이지·엔씨 AI)

독자 AI 정예팀의 목표와 전략 독자 AI 정예팀의 목표와 전략을 총정리합니다. 독자 AI 정예팀의 인터뷰와 보도 내용을 보고 정리했으며 개인적인 추정도 담겨있습니다. 정부는 2025년 8월 발표한 독자 AI 정예팀 5개 팀을 2026년 말까지 최종 두 팀만 남기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반기마다 한 팀이 탈락하는 구조라 업계에서는 “데스매치”라는 표현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독자 … 더 읽기

메타 콘텐츠 수익화…크리에이터에 더 지급한다

메타 콘텐츠 수익화 프로그램을 통해 크리에이터에 더 많은 수익을 지급할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팔로워 수가 수십만 정도 되는 대형 매체는 이미 초대를 받았을 수도 있으니 살펴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메타가 2023년 4월 페이스북 인스턴트 아티클을 종료한 후 약간의 비용 보전이 가능하게 됐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제가 아는 글기사 중심의 페이스북 페이지를 운영하는 매체는 7월 말 … 더 읽기

독자 AI 프로젝트에서 콘텐츠 기업은 하청보다 못한가

정부가 주도해 한국형 AI를 만들겠다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독자 AI 프로젝트)’가 본격 추진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기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설계한 데이터 공동활용 부문(연 100억원)의 데이터 제공 구조가 콘텐츠 기업에 매우 불리하게 설계되어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NIA가 공지한 내용은 마치 정부가 콘텐츠 기업을 ‘하청’이나 ‘데이터 제공 도구’로만 바라보는 편향된 시각을 가졌다고 오해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독자 … 더 읽기

독자 AI 프로젝트 정예팀이 만드는 AI는 무엇일까

25년 8월 4일 과기부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이후 독자 AI 프로젝트)에 네이버 클라우드 정예팀, 엘지 경영개발원 AI 연구원 정예팀, SKT 정예팀, 엔씨 에이아이(NC AI) 정예팀, 업스테이지 정예팀이 선정됐다고 발표했습니다. 업계에서는 이번 프로젝트에 대기업 3개와 스타트업 2개를 선택할 것이라는 소문이 있었습니다 독자 AI 프로젝트는 한국형 초거대 AI의 주도권을 확보하고, 글로벌 기술 종속에서 벗어나기 위해 추진되는 … 더 읽기

네이버 언론사 편집판 구독자 수 정리 – 2025년 9월 12일까지

네이버 언론사 편집판 구독자 수와 순위를 2018년 7월부터 2023년 12월 1일까지 정리했습니다. 네이버 언론사 편집판 구독자 수의 변동이력도 함께 정리했습니다.

AI 학습 계약서 체결 시 검토사항…콘텐츠 기업 입장에서

콘텐츠 기업 입장에서 AI 학습 계약서 체결 시 검토할 내용들을 정리했습니다. 이 글은 콘텐츠 기업이 AI 기업과 데이터 학습 계약을 체결할 때 검토해야 할 주요 항목들을 정리한 실무 참고 자료입니다. 특히 2020년 마이크로소프트(MS)가 공개한 AI 학습 계약서 샘플을 바탕으로, 콘텐츠 제공자 입장에서 유의할 점들을 소개합니다. 이글은 법률적인 검토가 아닌 콘텐츠 기업의 사업 담당자로서 언론사 친화적인 … 더 읽기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작동 원리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작동 원리를 알아봅니다. AI 관련 영업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작동 원리를 공부하는 게 필요하다고 봤습니다. 제가 공부하려고 만든 AI 용어 모음에서 모르는 용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대규모 언어 모델(LLM)이란 무엇인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은 방대한 양의 텍스트 데이터를 사전 학습해 텍스트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인공지능 언어 모델입니다. 대규모 언어 모델을 단순하게 표현하면 입력된 문맥을 파악해서 … 더 읽기

AI 용어 모음

AI 용어들을 정리했습니다. AI 기업들과 업무를 진행하게 될때 알아야 할 키워드입니다. 아래 용어들은 다양한 유튜브 영상 등을 시청하며 나온 키워드들을 중심으로 선정했습니다. AI 용어 모음 번호 용어 분류 설명 예 기타 1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개념 – 기계가 사람처럼 사고하거나 판단하는 것처럼 보이는 기술– 입력을 받아 출력을 계산하는 복잡한 시스템 챗봇, 얼굴 인식, 자율주행 2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