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자를 위한 온라인 광고 용어 정리를 보시는 게 좋습니다.
오늘 글 주제는 2017년 11월에 작성한 초보자를 위한 온라인 광고 용어 정리 글 이후 변화한 한국 모바일 광고 생태계를 업데이트하는 것입니다.
초보자를 위한 온라인 광고 용어 정리 : 애드익스체인지, SSP, DSP, 애드 네트워크
위 글에서 참고했던 모비인사이드의 광고 생태계 지도가 4.0으로 업데이트됐기 때문에 재정리합니다 ㅎㅎ

2018 한국 모바일 광고 생태계
아쉽게도 제가 아는 회사가 많지 않습니다 ㅠㅠ
FMP(Facebook Marketing Partner : 페이스북 광고 대행사) – DMC 미디어,igaworks, nasmedia
DMP(Data Management Platform(디지털 마케팅을 위해 고객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tech platform) – NHNACE
Retargeting(고객이 가장 최근 본 상품에 대한 광고를 표시) – Criteo, Mobion, Moloco
SSP( Suply side Platform : 실시간으로가장 광고 단가가 높은 광고를 매체에 제공해주는 플랫폼) – Mobion, ADOP, Teads, ADLIB, MANPLUS, admixer, Real Click, TPMN
Analytics – App Annie,nielson, Rankey
Attribution tracking(최종 구매 전단계에 촛점을 맞췄던 기존 분석과 달리 다양한 성과 모델을 통해 매출에 기여한 전 단계를 분석하는 기여도 분석) – GOOGLE ANALYTICS, ACE COUNTER
Digital Agency(온라인 광고 대행업) – iboss, Starcom
DSP(Demand Side Platform : SSP와 달리 광고주가 최소한의 광고금액으로 최대 광고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돕는 플랫폼) – MOLOCO
Ad Exchange(애드 네트워크들의 거래를 중개하는 서비스로 광고 거래소의 역할을 함) – (google) DoubleClick
Media Rep.(Media Representative : 특정 영역에서 특정 매체사의 광고 독점 판매권을 가진 회사로 광고 주 입장에서 광고를 기획하고 매체 구매를 대행해주는 광고 구매 대행사) – nasmedia, MezzoMedia, incross, DMC Media, Mable
Ad Network(자사의 애드서버를 통해 광고주와 매체를 연결해 광고주와 매체의 광고 업무를 대행하는 회사) – Taboola, interworks, dawin, SMR(스마트미디어랩 for 지상파와 종편&CJ), Cauly, Dable, EDN Plus, U+AD, Syrup ad
Influencer Marketing – 텐핑, 쉘위애드, ADMAX
아직도 공부할 것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모비스케티프 4.0을 소개하면서 잡설로 종료합니다.(끝)
미디어의 온라인 전략과 수익화를 고민합니다.
▲ 약력
– 2021년 Google YouTube Sustainability Lab with Google News Initiative 참여
– 2021년 Google Asia Pacific Audience Lab에서 audience analysis, making persona, Search Engine Optimization 참여
– 2019년 Google Korea와 Google SEO project 참여
– 2017년부터 거북이 미디어 전략 연구소 운영
– 2015년부터 매체에서 온라인 광고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