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에 구글 유입 급감 이유 찾기
갑자기 홈페이지에 구글 유입이 급감할 경우 그 이유를 찾아 미친듯이 고민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특히 일상적인 검색 유입 감소가 아닌 극단적인 감소 그래프를 보면 구글의 검색 알고리즘 변화이라는 의심이 드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구글 관련한 검색엔진 최적화 작업을 어느 정도 한 뒤에 트래픽이 올라갔다가 이런 일이 생기면 너무 답답합니다
저도 이런 경우를 당해봤기 때문에 비슷한 일을 하시는 분들과 티타임을 가져보기도 하고 구글 문서를 찾아보기도 했습니다.
특히 2022년 5월 구글의 코어 웹바이털을 중심으로 한 일부 변경때문에 다양한 경험을 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내 사이트에서 갑자기 구글 유입이 감소했다면(또는 급증했다면) 아래의 경우들을 검토해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구글 검색 상태 시스템 대시보드를 보고 추론하기
구글 검색 상태 대시보드에서 현재 구글 검색 시스템이 정상인지 장애인지를 알려줍니다. 대시보드의 항목별 세부 메뉴에서 최근 업데이트 소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시보드를 살펴보니 2022년 12월 그리고 금년 3월에도 구글 검색에 주요한 업데이트가 있었습니다. 대시보드로 가면 2020년 1월부터의 변경 이력 확인이 가능합니다
- 2023년 3월 : 코어 업데이트 – 검색 순위 결정 업데이트 중 자체 콘텐츠 평가
- 2022년 12월 : 유용한 콘텐츠 업데이트 – 유용하지 않은 콘텐츠를 삭제하면 다른 콘텐츠 순위 개선에 도움이 됨. 유용하고 신뢰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 콘텐츠를 제작해야 함
서치콘솔에서 서버 오류 확인해보기
내 사이트의 서버 속도가 느리거나 구글 봇을 차단할 경우 구글 봇이 크롤링하는데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회사 규모가 클 경우 보안과 검색 담당하는 부서가 다를 경우 가끔 일어날 수 있습니다. 트래픽이 급락한다면 한번 체크는 해보시기 바랍니다. 최근 90일간의 오류를 확인할 수 있으며 robots.txt 또는 서버 접속오류가 5% 이상이라면 오류라고 합니다
- 서버 연결 오류가 있었는지, robots.txt 연결 오류가 있었는지
- 서버 연결 오류는 사이트 반응시간이 늦어 time out이 나온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네트웍을 담당하는 회사나 부서는 서버에 문제가 없었다고 답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런 연결 오류가 잦다면 좋지 않습니다. 문제를 파악해 해결할 필요가 있습니다
저도 확인차 살펴보니 며칠 전에 문제가 있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니 서버 연결에 문제가 있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등 눌러보시면 설명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치콘솔에서 직접조치 메시지 확인하기
발생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서치콘솔 우측 메뉴에서 직접조치를 선택했을때 아래와 같이 ‘감지된 문제 없음’인지를 확인은 해주세요. 저는 감지된 페이지를 본적이 없습니다.

구글이 샘플로 보여준 직접조치 문제 화면입니다

제가 찾아본 방법들 공유를 마칩니다. 다른 방법 있다면 댓글에서 알려주신다면 본문 반영하겠습니다. (끝)
미디어의 온라인 전략과 수익화를 고민합니다.
▲ 약력
– 2021년 Google YouTube Sustainability Lab with Google News Initiative 참여
– 2021년 Google Asia Pacific Audience Lab에서 audience analysis, making persona, Search Engine Optimization 참여
– 2019년 Google Korea와 Google SEO project 참여
– 2017년부터 거북이 미디어 전략 연구소 운영
– 2015년부터 매체에서 온라인 광고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