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경영학의 아버지 피터 드러커(Peter Ferdinand Drucker)
휴넷 강의 요약 : 경영의 거장, 기업경영을 말하다.
현대 경영학의 아버지 피터 드러커 생애 :
- 1909년~2005년
- 오스트리아 빈 출신 경영학자, 생태학자
- 지식노동자라는 개념 고안(1959)
- 현대 경영의 아버지(누군가는 프레드릭 테일러)
경영자
- B=f(I,E) : 한 인간의 행동은 그의 유전자와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
- 경영자는 자원을 생산적으로 변환시키는 사람, 즉 조직적으로 경제를 발전시키는 특별한 책임을 맡은 사회기관이다
- 경영자의 3가지 기능 : 경제적 성과 창출, 기업 경영, 목표 관리
기업
- 기업의 목적 : 고객 창조
기업이 당면한 문제는 이익 극대화가 아니라 경제 활동에 따른 위험을 보상하는 정도의 이익을 달성하는 것이고 따라서 손실을 회피해야 한다
기업의 목적이 고객창조이기에 기업이 가지는 기능은 마케팅과 혁신 뿐
생산성
-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한의 생산을 위해 생산에 투입된 모든 요소들 사이에 균형을 이루는 것
- 생산성에 영향 미치는 4대 요소 : 시간, 제품믹스, 프로세스 믹스, 조직구조 또는 회사 활동에 조화
7가지 마케팅 목표
- 기존 제품의 기존 시장에서 차지해야 할 목표 시장점유율
- 기존 제품이 신규 시장에서 차지해야 할 목표 시장점유율
- 기존 제품 가운데 폐기해야 할 제품 선정
- 기존 시장에 진출할 신제품의 개발 목표
- 신제품이 개척해야 할 새로운 시장 목표
- 유통조직 수립 목표
- 서비스 목표
경영의 미래
-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 미래를 창조하는 것
- 이미 시작된 변화는 ‘이미 일어난 미래’다
기업의 5가지 기본 명제의 변화
- 기업은 ‘주인’, 종업원은 ‘하인 ==> 생산수단은 지식, 지식노동자의 파트너화
- 노동자는 전일근무, 월급이 유일한 수입원 ==> 전일근무제 사라짐
- 가장 효율적인 제품 생산 방법은 활동의 대부분을 한 경영자의 관리범위 아래 통합 ==> 거래 비용의 격감으로 인한 기업 통합 불필요
- 공급업자와 제조업체가 시장을 지배 ==> 고객이 정보를 소유해 권력이 고객에게 감
- 특정 기술은 하나의 산업에만 적용 ==> 특정 산업의 고유 기술이 사라짐
주주 중심 가치에서 ‘지식 노동자’ 중심으로 변화
- 기술자 중시
- 지식경영, 아웃소싱의 필요성
사. 사익추구는 비도덕적, 비윤리적, 반기업 정서의 원인 ==> 공동의 이익 추구가 기업의 사적 이익으로 귀결돼야 함
아. CEO, 벤처창업가 그리고 대기업의 혁신
혁신
- 성공적인 모든 기업인들의 공통점은 경영 혁신의 체계적 실천에 대한 의지
혁신은 위험 추구가 아닌 위험 회피임
혁신의 7가지 기회
- 기업 또는 산업의 내부 : 예상치 못한 일(IBM의 계산기 개발), 불일치 현상(프로세스상의 논리의 불일치, 경제적 현실 사이의 불일치 등), 프로세스상의 필요성, 산업과 시장의 변화
- 기업외부의 사회적, 지적 환경 : 인구변화, 인식의 변화, 새로운 지식
혁신 추진 원칙
- – 꼭 할 일 : 7가지 기회분석, 현장을 관찰하고 질문하고 경청, 하나의 초점, 효과적인 혁신은 작게 시작, 혁신의 목표는 주도권을 잡는데 두어야 함
- 하면 안될 일 : 무조전 독창적인 것만 하는 것, 다각화와 분산 그리고 한꺼번에 여러개를 하려고 시도, 미래를 위한 혁신이 아닌 현재를 위한 혁신임 (끝)
미디어의 온라인 전략과 수익화를 고민합니다.
▲ 약력
– 2021년 Google YouTube Sustainability Lab with Google News Initiative 참여
– 2021년 Google Asia Pacific Audience Lab에서 audience analysis, making persona, Search Engine Optimization 참여
– 2019년 Google Korea와 Google SEO project 참여
– 2017년부터 거북이 미디어 전략 연구소 운영
– 2015년부터 매체에서 온라인 광고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