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요약] https란 무엇인가?

오늘은 https란 무엇인가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 이어 구글 ‘더 나은 뉴스’ 세미나의 세션 4 내일의 오늘의 웹표준, https’ 발표 자료를 정리했습니다.

제가 개알못(개발을 알지 못해요~)이기에 필요 없는 것 같았지만 메모 차원에서 추가 정리합니다 ㅎㅎ

https란 무엇인가?

HTTPS = HTTP + SSL 로 도식화할 수 있습니다.

HTTP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ypertext인 html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 규약

HTTPS = HTTP + S(over Secure socket layers). 보안이 강화된 HTTP

SSL(Secure Socket Layer) = TLS(Transport Layer Security). 인터넷에서 정보를 암호화해서 송수신하는 프로토콜로 넷스케이프가 개발.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에서 표준으로 인정받은 프로토콜임. 표준에 명시된 정식 명칭은 TLS이지만 아직도 SSL이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됨.

http와 https 차이점
http와 https 차이점

https의 특징 ==> 안전하다

– authentication(인증) : 진짜라는 걸 인증

– data integrity(데이터 무결성) : 원문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음

– encryption : 암호화

구글 내에서 암호화된 트래픽은 95% (2018년 1월)

구글 내 암호화된 트래픽 비율
구글 내 암호화된 트래픽 비율

크롬 내에서 https로 로딩되는 페이지는 89% (2018년 1월)

크롬 내 https로 구동되는 페이지 비율 89%
크롬 내 https로 구동되는 페이지 비율 89%

크롬을 통해 https를 통한 사용 시간 83%(2018년 1월)

한국의 매체는 6%

한국 내 크롬 브라우저의 트래픽 중 https 비율
한국 내 크롬 브라우저의 트래픽 중 https 비율

https는 모든 브라우저에서 밀고 있음

크롬, 사파리, Edge 등 주요 브라우저는 https를 지원
크롬, 사파리, Edge 등 주요 브라우저는 https를 지원

https를 적용하면 좋은 점들

https는 http보다 느리다? ==> 빠르다!

https는 http보다 빠르다
https는 http보다 빠르다

https 구글 노출 랭킹에 도움이 된다

ATS(IOS App Transport Secutiry)는 http를 차단함

ATS(IOS App Transport Secutiry)는 http를 차단함
ATS(IOS App Transport Secutiry)는 http를 차단함

PWA(Progressive Web Apps) 제작은 https만 가능

PWA(progressive web app)은 https만 지원함
PWA(progressive web app)은 https만 지원함

지리정보, 자동기입 등의 모든 API는 https가 필요함

Browsers prohibit use of existing technologies without HTTPS including: Geolocation, Autofill for
Forms, Camera, Push Notifications, Payment, Identity, etc.

지리정보, 자동기입 등의 모든 API는 https가 필요함
지리정보, 자동기입 등의 모든 API는 https가 필요함

https는 도입비용이 비싸지 않음

https는 도입비용이 비싸지 않음
https는 도입비용이 비싸지 않음

https가 http보다 빠르고 낫다고 합니다. (끝)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