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더 나은 뉴스’ 세미나의 세션 1 글로벌 뉴스 매체 트렌드 관련 내용을 요약합니다.
2018년 7월 세미나 자료입니다.
목차
글로벌 뉴스 매체 트렌드 : 해외 뉴스 매체의 외부 트래픽 유입 비율
![[세미나 요약] 글로벌 뉴스 매체 트렌드 해외 뉴스 매체의 외부 트래픽 유입 비율](https://gobooki.net/wp-content/uploads/2020/03/1.해외-뉴스-매체의-외부-트래픽-유입-비율.png)
온라인 독자의 뉴스 매체 방문 경로
![[세미나 요약] 글로벌 뉴스 매체 트렌드 온라인 독자의 뉴스 매체 방문 경로 by reuters digital news report 2018](https://gobooki.net/wp-content/uploads/2020/03/온라인-독자의-뉴스-매체-방문-경로-by-reuters-digital-news-report-2018.jpg)
뉴스 매체의 온라인 수익화 모델
뉴스 매체의 온라인 수익화 모델을 아래에 설명해주셨습니다하지만 한국의 언론 매체의 경우 텍스트 광고가 무시할 수 없는 매출 비중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종의 필요악에 가까운 제품인데 이걸 간과하고 배너광고끼리의 효율만을 가지고 비교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세미나 요약] 글로벌 뉴스 매체 트렌드 뉴스 매체의 온라인 수익화 모델_텍스트 광고가 빠짐](https://gobooki.net/wp-content/uploads/2020/03/2.-뉴스-매체의-온라인-수익화-모델_텍스트-광고가-빠짐.png)
뉴스 매체의 수익화 모델과 KPI
![[세미나 요약] 글로벌 뉴스 매체 트렌드 뉴스 매체의 수익화 모델과 KPI](https://gobooki.net/wp-content/uploads/2020/03/3.-뉴스-매체의-수익화-모델과-KPI.png)
온라인 뉴스 매체의 걸림돌
요약
높은 광고 혼잡도 ==> 효율적인 배너 광고 운영으로 혼잡도는 감소시키고 효율은 증대시켜야 함
- 기사 1개 당 광고 수 : 한국 13.2개 VS 해외 4.1개
- 한국은 인터넷신문위원회 2018년 5월 자료, 해외는 Alexa top 10 뉴스 사이트 평균
불편한 모바일 사용자 경험 ==> 구글 AMP를 이용하자
검색에 최적화되지 않은 사이트 구조 ==> SEO(검색 최적화)를 하자
높은 광고 혼잡도
PC웹의 기사 1건 당 게재 광고 수는 해외 4.1개, 한국 13.2개
(해외는 Alexa top 10 뉴스 기준, 한국은 2018년 5월 인터넷신문위원회 발표)
![[세미나 요약] 글로벌 뉴스 매체 트렌드 온라인 뉴스 비즈니스의 성장을 저해하는 높은 광고 혼잡도](https://gobooki.net/wp-content/uploads/2020/03/5.-온라인-뉴스-비즈니스의-성장을-저해하는-높은-광고-혼잡도.png)
New York Times와 한국 주요 언론사 A의 PC웹 광고 게재 수 비교
![[세미나 요약] 글로벌 뉴스 매체 트렌드 뉴욕타임스와 한국 매체 웹사이트 광고 건수 비교(2018년)](https://gobooki.net/wp-content/uploads/2020/03/4.-뉴욕타임스와-한국-매체-광고-건수-비교.png)
과도한 광고는 온라인 뉴스 비즈니스의 성장을 저해함
모바일 사이트에 최적화된 AMP(Accelerated Mobile Pages)
![[세미나 요약] 글로벌 뉴스 매체 트렌드 모바일 사이트에 AMP 적용한 워싱턴 타임스의 효율 증가](https://gobooki.net/wp-content/uploads/2020/03/모바일-사이트에-AMP-적용한-워싱턴-타임스의-효율-증가.jpg)
워싱턴타임스는 구글 AMP를 모바일 사이트에 적용한 후 모바일 검색 유입 방문자의 7일 이내 재방문률이 23% 증가
기존 모바일 사이트 대비 페이지 로딩 시간 88% 개선
구글 AMP는 페이스북의 인스턴트 아티클과 비슷한 구글의 프로젝트입니다. 단, 페이스북보다는 광고 운영의 자유도가 더 높다고 보면 됩니다.
인스턴트 아티클은 매체의 직접광고와 페이스북의 광고(FAN) 중 하나만 선택 가능합니다.
구글 AMP는 매체의 직접 광고와 구글광고, 네트워크 광고 대행사 광고도 가능합니다. 단, 대행사 광고는 AMP HTML로 작성해야 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