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애드 매니저 사용법 – 초보자용“에서 2020년 8월 업데이트 버전을 읽을 수 있습니다.
구글 광고 플랫폼인 DFP(DoubleClick for Publishers)를 지속적으로 소개해드렸습니다
구글 DPF 도입 시기는 언제인지와 구글 DFP에 대한 일부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자료를 구글이 설명했습니다
이 글의 대부분은 구글의 설명회에서 나온 자료를 기반으로 재작성했습니다
매체의 성장단계에 따른 구글 애드센스 VS 구글 DFP 이용 시기 구분

구글은 매체를 창간한 후 온라인 광고영업 담당을 채용하기 전에는 구글 애드센스를 사용하고 그 이후에는 DFP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전업 영업사원이 DFP를 통해 자사에 적합한 판매 방식을 연구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 시기가 되면 통상 자사의 트래픽이 증가해 구글 애드익스체인지를 계약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추후 구글 애드센스와 구글 애드익스체인지에 대해서도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단, 구글 애드익스체인지는 애드센스와 달리 구글과 직접 계약을 체결해야 합니다
구글 DFP에 대한 궁금증
DFP는 애드센스보다 더 비싼 광고를 공급해주는가?
==> 인위적으로 비싼 단가의 광고를 제공하지는 않지만 다른 광고소스와의 경쟁으로 애드센스의 평균 CPM 단가가 인상될 수 있음
DFP는 구글 네트워크 광고만 서빙할 수 있다?
==> 구글은 구글 네트워크 광고는 모두 무료로 서빙
타 네트워크 광고와 하우스 광고는 월 2억 노출까지 무료로 서빙(사실이 아니면 알려주세요^^)
DFP는 한글 교육자료가 없다?
==> 이 링크를 통해 한국어로 강좌를 들을 수 있습니다
단, TTS로 설정됐기에 같은 문장이나 구절을 두번 반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글로 대충 이해했다면 영어로 다시 듣는 것도 추천합니다
DFP는 한국어 기술 서포트가 없다?
==> 현재 영어로 채팅 가능합니다 매일 24시간 이용가능합니다
문제가 있을 경우에 문의하면 엔지니어가 잘 짚어줍니다
구글에 따르면 조만간 한국어 서비스도 제공된다고 합니다 (끝)
미디어의 온라인 전략과 수익화를 고민합니다.
▲ 약력
– 2021년 Google YouTube Sustainability Lab with Google News Initiative 참여
– 2021년 Google Asia Pacific Audience Lab에서 audience analysis, making persona, Search Engine Optimization 참여
– 2019년 Google Korea와 Google SEO project 참여
– 2017년부터 거북이 미디어 전략 연구소 운영
– 2015년부터 매체에서 온라인 광고 운영
프로그래매틱 거래에 대해 조사하던 중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다양하게 정리가 잘 되어있어서 놓치고 있던 내용도 다시 보게 되어 감사드립니다.
현재 DFP 프리미엄을 쓰고 있는 매체에 있으나 아직 한국시장에서는 갈길이 먼 것 같습니다.
종종 들리겠습니다 ^^;
ㅎㅎ 감사합니다^^;;
프로그래머틱 거래에 대해서는 애드오피가 글들을 잘 관리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최근에 글을 시작했는데요.
노하우 있으면 알려주세요 ㅎㅎ
저도 나누겠습니다~
https://www.facebook.com/pg/ADOP.cc/posts/?ref=page_inter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