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이성규님의 블로그 Mediagotosa에 있는 글 “네이버 찾아간 지역언론에 드리는 제언“을 보고 간략하게 덧붙이려고 합니다.
결론적으로 지역 언론은 네이버 CP사 입점이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시점에서는 말이죠.
저는 2014년쯤에 지역 언론(한국지방신문협회 소속사)에 재직 중인 지인에게 지역 언론이 네이버에 입점하기 위해서는 개별사가 협상이 아닌 한국지방신문협회(전국 지역의 9개 유력 신문사 모임)의 명의로 각 신문사 9개와 한국지방신문협회 명의의 CP 계약 요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당시에 한국지방신문협회가 공문을 보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2014년과 2019년의 상황이 변화했습니다.
상황의 변화는 아래의 글에 있습니다.
지역 언론이 네이버에 입점하기 어려운 3가지 이유
포털 제휴 평가위 출범(2015년 9월~)
네이버와 카카오가 포털 제휴 평가위원회를 출범하면서 포털이 직접 일부 언론을 입점시키거나 퇴출시키는 것이 어렵게 됐습니다.
2015년 이전은 네이버와 카카오가 CP사를 ‘직접’ 입점시키는 것이 가능했지만 형식적인 결정권은 제휴 평가위가 가지게 됐습니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이 룰을 깨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봅니다.
네이버 플러스 프로그램(2017년 10월~)
네이버 플러스 프로그램은 CP사에 연간 200억원을 지급해 네이버의 뉴스 페이지 광고 수입 (연 70억원)와 구독 펀드(연 100억원)를 배분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CP사가 갑자가 크게 증가하게 되면 기존의 CP사에 돌아가는 몫이 적어지게 되고 이는 기존 CP사에 네이버에 대한 불만과 공격 빌미를 줄 수 밖에 없습니다.
네이버로서는 적극적으로 나서기가 곤란할 수 있는 것이죠.
네이버와 카카오에 뉴스는 계륵
네이버와 카카오에 있어 뉴스는 일종의 계륵과 같은 존재라고 봅니다.
사실 뉴스는 매우 좋은 콘텐츠입니다.
실시간 업데이트와 이슈를 만들어내는 효자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2017년 3월 드루킹 사건 이후 뉴스는 기피 콘텐츠가 됐습니다.
네이버에 입점한 CP사와 정치권의 집중 타깃이 됐기 때문입니다.
네이버의 총수인 이해진 GIO(글로벌 투자 책임자 : Global Investment Officer)와 한성숙 대표는 각각 국감에 증인으로 출석해야 했습니다.
한국의 기업에서 총수와 대표가 공격받는 상황은 가장 회피하고 싶은 것입니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뉴스라는 콘텐츠가 가져오는 효과보다는 부정적인 영향을 배제하는 것에 좀 더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지역 언론을 추가로 CP사로 입점시키는 것은 부담스러운 일일 수 밖에 없습니다.
좋지 않은 이야기만 해서 마음이 좋진 않습니다.
지역 언론이 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해서는 이성규님의 말씀하신 대로 구글 뉴스에 입점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그렇게 효율이 높지 않을 수는 있습니다. 구글 뉴스의 한국 시장 점유율이 높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검색 최적화(SEO)를 시행하거나 너무 지저분한 광고를 정리하는 것도 방법인 것 같습니다.
(끝)
거북이 미디어 전략 연구소장은 미디어의 온라인 수익화와 전략에 주요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Publisher side에서 2015년부터 모바일과 PC 광고를 담당했습니다. 2022년부터 국내 포털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 강의 이력
구글 디지털 성장 프로그램의 광고 워크샵 게스트 스피커(21년 6월)
구글 서치콘솔,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MS 웹마스터 도구 사용법(24년 8월 한국 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