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팔자 음양오행이란
음양오행(陰陽五行)은 사주팔자의 각 글자들을 형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구성요소이다
사주팔자 음양이란?
음양(陰陽)은 동양 철학의 근본 개념으로, 우주와 자연의 모든 현상이 상호 대립적이면서도 보완적인 두 에너지, 즉 음(陰)과 양(陽)의 조화와 균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음양의 원리는 남성과 여성, 하늘과 땅, 밝음과 어두움 일상생활의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나며, 서로 대비되지만 동시에 균형을 이루어 조화를 유지한다.
명리학에서 음양은 우주 만물의 근본 원리로, 모든 사물과 현상이 음(陰)과 양(陽)의 두 기운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본다. 음은 어둡고, 차갑고, 정적인 특성을 지니며, 양은 밝고, 따뜻하고, 동적인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음양의 조화와 균형이 우주의 질서를 유지하며, 인간의 삶과 운명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사주명리학에서는 천간(天干)과 지지(地支)를 음과 양으로 구분하여 해석한다.
사주팔자 오행
오행은 만물의 기본 요소인 목, 화, 토, 금, 수의 다섯가지 기운을 상징한다
오행은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를 가리키며, 각각 나무, 불, 흙, 금속, 물을 의미한다. 오행은 자연과 우주의 법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으로, 목화토금수의 순서로 상생(相生)과 상극(相剋)의 원리를 따른다. 오행은 서로 생하고 극하면서 조화를 이루어 균형을 유지하는 체계다.
나무는 불을 생하고, 불은 흙을 생하며, 흙은 금속을 생하고, 금속은 물을, 물은 다시 나무를 생합니다. 이 순환 구조는 자연의 이치와 같은 것으로, 인간의 삶에서도 이러한 원리를 통해 많은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사주팔자를 해석할 때는 1. 음양의 특징 2. 오행(목화토금수)의 특징 3. 각 글자의 특징을 살펴봐야 한다
내 사주에 양의 글자가 많다면 나는 양의 기운이 강하고, 음의 글자가 많다면 나는 음의 기운이 강하다고 해석한다
이후에 목화토금수라는 오행의 기운으로 해석한다
마지막으로 각 글자별로 해석하게 된다
오행 중 목화는 양의 영역, 금수는 음의 영역이다.
10천간의 음양오행

12지지의 음양오행

※ 자수, 해수, 사화, 오화의 음양과 체용(體用) – 자수는 외적으로는 양의 수(水)이지만 지장간에 계수의 기운이 20, (양의 수기운인)임수의 기운이 10으로 사주에서는 음수로 해석함 – 해수는 외적으로는 음의 수(水)이지만 지장간에 무토의 기운이 7, 갑목의 기운이 7, (음의 수기운인) 임수의 기운이 11이기에 사주에서는 양수로 해석함 – 사화는 외적으로는 음의 화이지만 지장간에 무토의 기운이 7, 경금의 기운이 7, 양의 화인 병화의 기운이 11이어서 사주에서는 양의 화로 해석함 – 오화는 외적으로는 양의 화이지만 지장간에 병화의 기운이 10, 기토의 기운이 9, 음의 화인 정화의 기운이 11이어서 사주에서는 음의 화로 해석함 |
양(陽)의 특징
- 발산하는 기운
- 전통적으로 남성성
- 역동적, 저돌적, 도전정신
- 용기/적극적/능동적/에너지가 외부로 발산
- 기질이 세고 이를 바탕으로 실천력이 좋은 사람
음(陰)의 특징
- 수렴하는 기운
- 전통적으로 여성성
- 에너지가 내부로 수렴/소극적/수동적/정적/행동보다 생각 위주
- 사고형 캐릭터
- 다가가는 것보다 다가오는게 더 편함
- 안정감/균형 중시
오행-목화토금수
오행의 개요 정리

오행의 생극제화표

상생과 상생의 반작용
- 목생화,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
- 목다화멸(木多火滅) : 나무가 너무 많으면 불이 꺼짐
- 화다토조(火多土燥) : 불이 너무 강하면 흙이 메마름
- 토다금매(土多金埋) : 흙이 너무 많으면 금이 묻힘
- 금다수탁(金多水濁) : 쇠가 너무 많으면 물이 흐려짐
- 수다목부(水多木浮) : 물이 너무 많으면 나무가 썩어 물위에 뜸
상극과 상극의 반작용
- 사주팔자에서 상생, 상극관계인 오행을 연결시켜주는것을 통관이라 함
- 목극토의 통관오행은 화(목생화, 화생토)
- 화극금의 통관오행은 토(화생토, 토생금)
- 토극수의 통관오행은 금(금생수 수생목)
- 금극목의 통관오행은 수(금생수, 수생목)
- 수극화의 통관오행은 목(수생목, 목생화)
- 토다목절(土多木折) : 흙이 너무 많으면 나무가 흙에 꺾여버림
- 수다토류(水多土流) 또는 수다토붕(水多土崩): 물이 너무 많으면 흙이 떠내려감
- 금다화멸(金多火滅) : 큰 쇳덩어리는 불을 꺼뜨림
- 목다금결(木多金缺) : 큰 나무는 작은 칼을 부러뜨림
목의 글자와 해석 키워드

- 목은 용출하는 기운을 상징하며 땅을 뜷고 올라오는 기운
- 목의 키워드는 순수성, 성장하려는 욕구, 명예욕, 창의성, 솔직함
- 목은 계절로 보면 봄을, 인생으로 보면 유년기를 상징
- 목이 발달하면 밝은 에너지를 바탕으로 건강한 인간관계를 만들고 남에게 피해를 끼치지 않는 성장형 캐릭터가 된다
- 목이 과다하면 고집세고, 감정을 자제하기 힘들다. 유치한 인상을 심어줄 수 있으며 시작만 하고 끝을 못맺는 경우도 생긴다. 복잡하고 난해한 걸 싫어하는 성향을 가진다
화의 글자와 해석 키워드

- 화는 발산하는 기운을 상징
- 화의 키워드는 사람간의 예의, 외적인 화려함, 폭발적인 에너지, 열정
- 화는 여름으로 인생으로 해석하면 청년기를 상징
- 화가 발달하면 밝은 에너지를 바탕으로 건강한 인간관계를 가질 수 있고, 예의가 있어 사람관계가 진국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배신하지 않는다는 이미지가 있고 능동적이라 집단을 앞으로 가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 화가 과다하면 감정기복때문에 대인관계에 악영향이 있을 수 있고 심리적 불안 증세를 호소할 수 있다
토의 글자와 해석 키워드

- 토는 전환기를 상징한다. 토는 목, 화의 용출하고 발산하는 양의 기운이 음의 기운이로 변화할 수 있도록 중재
- 토의 키워드는 중재, 포용, 중용, 고집, 끈기
- 토는 환절기를 의미
- 토는 복잡해서 잘 해석해야 하는 글자
- 토가 발달하면 인간관계가 원만하고, 마무리를 잘하며, 신용과 신뢰를 중요시
- 토가 과다하면 고집이 세고, 인생이 다사다난한 경우가 많다
금의 글자와 해석 키워드

- 금은 수렴하는 기운을 상징한다. 목의 용출, 화의 발산(확장), 토의 변화 이후 (열매 맺듯이) 수렴하는 기운
- 금의 키워드는 강한 의지, 절제, 완벽주의, 원칙주의
- 금은 가을로 장년기
- 금이 발달한 사람은 업무적 완벽주의, 예리해서 함께 일하면 스트레스 없는 사람이며, 의사소통이 명확, 자기관리 잘하게 된다
- 금이 과다하면 너무 예민해서 스트레스 잘받고, 생각을 잘 표현하지 않고, 표현은 잘하나 감정 표현이 약할수 있다. 센스있고 지혜로운 표현법 고민해야한다. 예리한 비평가 스타일이다
수의 글자와 해석 키워드

- 수는 응축하는 기운을 상징한다. 목의 용출, 화의 발산(확장), 토의 변화, 금의 (열매) 수렴 이후에 모든 기운을 (씨앗으로) 응축시키는 기운
- 수의 키워드는 생각, 지혜, 욕망, 본능 등
- 수는 겨울로 인생으로 보면 노년기
- 수가 발달하면 지혜롭고, 인사이트 있으며 침착하고 단정한 매력이 있다. 겉으로 볼때 단정한 외양에 정적 이미지를 가진다
- 수가 과다하면 우울증 증상이 있고 비밀주의가 있고 음침하다는 오해를 받거나 허송세월을 보낼수도 있다 (끝)
관련 포스팅
거북이 미디어 전략 연구소장은 미디어의 온라인 수익화와 전략에 주요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Publisher side에서 2015년부터 모바일과 PC 광고를 담당했습니다. 2022년부터 국내 포털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 강의 이력
구글 디지털 성장 프로그램의 광고 워크샵 게스트 스피커(21년 6월)
구글 서치콘솔,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MS 웹마스터 도구 사용법(24년 8월 한국 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