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부터 최근(2023년)까지의 로이터 디지털 뉴스 리포트를 한국 한정해서 정리합니다. 연도별 추이 분석이 가능한 항목만을 다룹니다
1999년부터 최근(2020년)까지의 연도별 신문 매출 추이과 함께 보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로이터 디지털 뉴스 리포트 정리는 왜 하는가
로이터저널리즘 연구소는 2016년부터 2023년까지 국가별로 로이터 디지털 뉴스 리포트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조사합니다
영문 버전은 로이터 저널리즘 연구소에서, 한글 버전은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저는 2016년부터 2023년까지의 조사 결과 추이를 정리했습니다.
오프라인 뉴스 중 매주 1회 이상 언론사 순위

JTBC는 2016년 45%, 2017년과 2018년 60%, 2019년 50%, 2020년 28%, 2021년 38%, 2022년 35%, 2023년 31%입니다.
오프라인 뉴스 중 매주 3회 이상 사용 언론사 순위

JTBC는 2017년 49%에서 2023년엔 19%까지 하락했습니다.
온라인 뉴스 매주 1회 이상 사용 매체 순위

2023년엔 동아일보와 MBN, 노컷뉴스, 네이트가 대상에서 빠졌습니다.
온라인 뉴스 매주 3회 이상 사용 매체 순위

매주 1회(weekly) 뉴스 사용 매체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꾸준히 60% 이상을 기록한 네이버 열독자가 하락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소스별 뉴스 이용

브랜드 신뢰도 순위(신뢰함 기준)

브랜드 신뢰도 순위(신뢰 안함)

뉴스 신뢰도 조사 추이
구분 | 전반적으로 뉴스 신뢰 | 내가 이용하는 뉴스 신뢰 | 검색에서 찾은 뉴스 신뢰 | 소셜미디어의 뉴스 신뢰 |
2016년 | 22% | |||
2017년 | 23% | 27% | ||
2018년 | 25% | 29% | 23% | 19% |
2019년 | 22% | 26% | 20% | 15% |
2020년 | 21% | 27% | 19% | 15% |
2021년 | 32% | 42% | 26% | 21% |
2022년 | 30% | |||
2023년 | 28% | 38% |
온라인 뉴스 유료 경험 등 조사 결과
구분 | 온라인 뉴스 유료 구독 | 지난달 팟캐스트 들음 | 소셜미디어, 메시지앱, 이메일로 뉴스 공유 | 애드블록 |
2016년 | 6% | 12% | ||
2017년 | 12% | 12% | ||
2018년 | 11% | 58% | 13% | |
2019년 | 10% | 53% | ||
2020년 | 10% | |||
2021년 | 13% | 49% | 25% | |
2022년 | 14% | 52% | 28% | |
2023년 | 11% | 49% | 25% |
(끝)
거북이 미디어 전략 연구소장은 미디어의 온라인 수익화와 전략에 주요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Publisher side에서 2015년부터 모바일과 PC 광고를 담당했습니다. 2022년부터 국내 포털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 강의 이력
구글 디지털 성장 프로그램의 광고 워크샵 게스트 스피커(21년 6월)
구글 서치콘솔,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MS 웹마스터 도구 사용법(24년 8월 한국 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