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AI 브리핑 서비스가 25년 3월 27일 출시된다. 네이버 사용자는 별도 로그인 없이 PC와 모바일 검색창에서 AI 요약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네이버의 AI 브리핑은 주요 서비스에 AI를 내재화하는 온서비스 AI 전략의 일환이다. 네이버가 24년 11월 팀 네이버의 통합 컨퍼런스 ‘단(DAN)’에서 발표한 LLM과 검색을 결합해 개선된 검색 서비스를 발표한 내용을 출시한 것이다.
네이버 AI 브리핑은 정리/요약된 답변을 제공하는 검색 기능은 물론, 새로 오픈한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앱에서의 AI 쇼핑 가이드, 다양한 장소 정보를 제공하는 플레이스, 지금 화제가 되고 있는 트렌드를 소개하는 ‘숏텐츠’ 등 각 유형에 최적화된 다양한 형태로 우선 도입된다. 기존 검색의 사용성을 유지하면서도 AI 브리핑을 통해 검색 생태계가 더욱 활성화 될 수 있는 확장성까지 고려했다.
AI 브리핑에는 네이버가 추구하는 ‘다양성’과 ‘연결’의 가치가 담겼다.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간략히 요약된 답변을 제공하면서, 요약된 답변과 창작자 및 원본 콘텐츠의 출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직관적으로 제공한다. 창작자의 문서로 연결되는 과정에서 콘텐츠 생태계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내 다양한 서비스로 AI 브리핑이 확대됨에 따라, 4천만 사용자와 풍성한 콘텐츠와의 연결은 물론 330만 SME의 노출 기회도 확대될 예정이다.
AI 브리핑이란?
- 생성형 AI + 개인화 추천 기술이 결합된 새로운 검색 경험
-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따라 요약된 정보를 제공하고, 원본 콘텐츠로 연결
- 블로그·카페·공식 웹사이트 등 다양한 출처의 정보를 한눈에 확인 가능
네이버 AI 브리핑의 5가지 종류
공식형/멀티출처형
- 정답이 있는 답변이나, 다양한 콘텐츠 탐색이 필요한 질의에 대해 검색 결과 최상단에 핵심 정보를 제공
- 잘 정리된 요약과 출처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얻기까지 시간을 단축시키고, 후속 질문을 통해 연관된 정보의 추가 탐색을 지원
- 생활 전반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하우투(how-to)정보부터, 최신 유행하는 밈, 흥미로운 영화 결말, 어젯밤 꿈 해몽 등 유용하고 흥미로운 검색어를 시작으로 다양한 주제로 확대할 예정
- 정부·공공기관 등 신뢰성 있는 공식 출처 기반 정보 요약
- 다양한 출처(블로그, 뉴스, 클립 등)를 요약해서 상단에 보여줌
- 후속 질문이나 연관 정보 추천도 함께 제공
- 질의에 따라 하단에 제공되는 피드 영역에서 사용자의 검색 맥락에 맞는 개인화된 추천 정보도 제공해 검색 전반의 사용 경험을 개선
- 예시: 운전면허 갱신 서류, 여권사진 안경 가능 여부

숏텐츠형
- 화제의 숏폼 영상이나 트렌드를 요약해 제공하고 오리지널 콘텐츠에서 추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콘텐츠를 소비한 사용자가 관심있을 만한 정보를 분석해 추천
- 예시: 스포츠 하이라이트, 화제의 뷰티템, 여행 숏폼 추천
- 관심사 기반으로 추천 콘텐츠 큐레이션 기능도 포함하고 향후 개인화 추천 고도화 예정

플레이스형
- 지역과 여행 정보 탐색에 최적화된 구성
- 다양한 여행정보를 비롯해 국내외 핫플레이스 정보 탐색과 취향에 맞는 콘텐츠들을 추천할 예정
- 사용자가 많이 찾는 오사카, 교토 등 일본지역을 시작으로 다양한 국가의 여행지로 확대
- 예시: 교토 여행, 오사카 맛집, 봄철 여행지
- AI가 인기 콘텐츠를 주제별로 분류해 보여줌 (음식, 문화, 숙소 등)

쇼핑형 (AI 쇼핑 가이드)
- 방대한 상품 정보를 요약해 핵심 특성과 구매 팁 제공
- 사용자의 검색 피로도 감소 + 맞춤형 상품 추천 강화
- 예시: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 여름용 냉감이불 추천

향후 일정
- 이미지 기반 검색(멀티모달)
- 다국어 서비스 (영어·일본어 등) 도입도 예고
- 네이버 통합 검색의 큐(Cue:) 답변은 AI 브리핑 출시로 노출이 종료됨. 단, Cue: 서비스는 별도 페이지에서 이용 가능
- 쇼핑 옴니처시 서비스는 AI 브리핑 오픈과 함게 서비스 종료
(끝)
관련 포스팅
거북이 미디어 전략 연구소장은 미디어의 온라인 수익화와 전략에 주요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Publisher side에서 2015년부터 모바일과 PC 광고를 담당했습니다. 2022년부터 국내 포털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 강의 이력
구글 디지털 성장 프로그램의 광고 워크샵 게스트 스피커(21년 6월)
구글 서치콘솔,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MS 웹마스터 도구 사용법(24년 8월 한국 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