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 콘텐츠 수익화…크리에이터에 더 지급한다

메타 콘텐츠 수익화 프로그램을 통해 크리에이터에 더 많은 수익을 지급할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팔로워 수가 수십만 정도 되는 대형 매체는 이미 초대를 받았을 수도 있으니 살펴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메타가 2023년 4월 페이스북 인스턴트 아티클을 종료한 후 약간의 비용 보전이 가능하게 됐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제가 아는 글기사 중심의 페이스북 페이지를 운영하는 매체는 7월 말 콘텐츠 수익화 메시지를 관리자 페이지에서 보고 신청한 후 수익이 종전 대비 약 3배 정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만, 수익은 각 매체별로 다를 것으로 보입니다.

메타 콘텐츠 수익화란 무엇인가

메타 콘텐츠 수익화 화면 캡처
메타 콘텐츠 수익화 화면 캡처
  • 메타(Meta)가 2024년 하반기부터 새롭게 선보인 콘텐츠 수익화 프로그램으로, 인스트림 광고, 릴스 광고, 게시물 기반 성과 보너스 등을 통합한 방식
  • 메타가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 일부 크리에이터에만 적용한 게시물 기반 성과 보너스가 콘텐츠 수익화에 통합돼 수익이 좀 더 증가함
  • 링크를 포함한 글게시물 기반으로 페이스북 계정을 운영하던 매체에 수익금액이 증가할 수 있는 채널이 열린 것이라고 보면 됨
  • 2025년까지 초대받은 사용자만 참여 가능하며, 이후 일반 신청도 확대될 예정

종전 수익화 방식과 비교

구분콘텐츠 수익화 (신규 베타)종전 수익화 방식
운영 형태여러 수익화 기능을 하나로 통합 운영기능별로 개별 신청·관리
수익 모델– 게시물 기반 성과 보너스(신설)
– 인스트림 광고
– Reels 광고
– 스토
– 후원(스타)
– 인스트림 광고
– Reels 광고(초대 기반)
– 팬 구독(Fan Subscription)
– 스타(Stars)
참여 자격– 페이지 90일 이상 운영
– 정책 준수
– 팔로워·시청 시간 등 세부 조건 충족
– 현재는 초대 기반
기능별로 상이
– 인스트림 광고: 팔로워 1만명 + 60만 분 시청(최근 60일)
– 스타: 팔로워 500명 이상
– 팬 구독: 메타 승인 필요
신청 절차현재 초대 기반 → 추후 일반 신청 예정각 기능별 개별 신청
수익 집계 방식모든 콘텐츠 성과를 통합 집계하여 지급기능별로 별도 집계·정산
지급 기준활동 콘텐츠의 조회수, 참여도, 광고 노출 성과 기반각 기능별 조회수·후원·광고 성과 기반
관리 도구Meta Business Suite / Creator Studio의 콘텐츠 수익화 탭에서 통합 관리Creator Studio 내 각 수익화 기능별 탭에서 개별 관리
장점– 한 번에 모든 수익화 기능 관리 가능
– 더 다양한 콘텐츠 형식 수익화 가능(사진, 텍스트 포함)
– 정책 준수와 활동량만 충족하면 자동 반영
– 특정 기능만 골라서 운영 가능
– 조건 충족 시 개별 기능만 활성화
단점– 베타 단계로 일부 지역·계정만 가능
– 모든 기능이 한 번에 비활성화될 수 있음
– 기능별 조건이 높아 활성화가 어렵고, 관리가 번거로움

참여 자격

  • 정책 준수 필수
    • 메타의 커뮤니티 기준, 파트너 수익화 정책, 콘텐츠 수익화 정책에 문제 없어야 함
    • 스팸 게시물, 조작된 해시태그, 무의미한 내용 첨부 등은 제재 대상이며, 수익화 자격 박탈 가능
  • 운영 기간 및 세대
    • 페이지는 최소 90일 이상 운영되어야 함
  • 기타 수익화 요소:
    • 인스트림 광고 등은 팔로워 1만명, 최근 60일 내 시청 기록 충족 등의 추가 기준이 필요

메타의 콘텐츠 수익화에 대해 일부 크리에이터들은 수익이 거의 없거나 몇달간 신청해도 응답도 없었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거북이 미디어의 페이스북 페이지는 950명의 팔로워가 있지만 콘텐츠 수익화 신청이 가능하지는 않았습니다. (끝)

관련 포스팅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