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의 온라인 전략과 수익화를 고민합니다.

모르는 용어 정리

▲ 포그라운드(foreground) 프로세스 : 화면에서 유저와 상호작용하는 프로세스

▲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 화면 뒤에서 돌아가는 형태. 백신, 서버 데몬 등

▲ a href : anchor hypertext reference : 링크된 페이지 URL을 알려준다

  • 예제 :
  • 절대 주소(absolute URL)
    예) href=“https://gobooki.net/category/seo/”
  1. 상대 주소(relative URL)
    예) href=“/category/seo/”

▲ html, css, javastripp
HTML이 웹 페이지의 기본 구조를 담당하고, CSS가 디자인을 담당한다면 JavaScript는 클라이언트 단에서 웹 페이지가 동작하는 것을 담당한다

▲ 8가지 IT 개념 by 미키 김

1) 딥 러닝: 딥 러닝은 기계가 학습하는 머신 러닝의 한 종류로 대량의 데이터를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는 방법이고 인공지능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강아지 사진을 왕창 던져주고 기계가 스스로 이게 강아지라고 학습해서 인간이 강아지 모습의 규칙을 정해주는 것보다 근본적으로 뛰어난 알고리즘을 만든다. 인간이 바둑 두는 법을 코딩한게 아니라 수많은 바둑 경기 데이터를 기계가 학습해서 바둑 두는 법을 스스로 터득한 알파고 역시 좋은 예. 이럴 때 인간 두뇌의 신경망과 비슷하게 설계된 인공신경망 모델을 사용하고, 이를 Artificial Neural Network, 줄여서는 ANN이라고도 한다.

2) 자연어 처리: 자연어 처리는 말 그대로 기계와 인간이 자연스러운 언어로 대화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OK 구글이나 알렉사부터 각종 번역기에 최근 화제인 ChatGPT 등은 발전하는 자연어 처리 기술을 보여주는 제품들이다. 그리고 위에 소개한 딥 러닝 기술이 자연어 처리 성능을 빠르게 발전시키고 있다. 영어로는 Natural Language Processing, 줄여서 NLP라고도 한다.

3) 로 코드 노 코드: 유튜브(MMM)에서도 소개한 내용인데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직접 코딩하는게 아닌 개발 툴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흐름을 low code no code라고 한다. 즉 코딩은 아에 안 하거나 조금만 해서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것이고, 이런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들도 발전하고 있다.

4) 코딩 언어들: 언젠가부터 코딩을 배우자 열풍인데 코딩은 몰라도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뭐가 있는지는 알아두자. 프로그래밍 언어는 0과 1로 소통하는 기계에게 인간이 명령을 줄 수 있는 언어이고, 인간의 언어가 여러가지가 있듯 프로그래밍 언어도 여러가지가 있다. C, C++, Java, Python, Swift 등이 대표적이고 웹 사이트 개발에 사용하는 HTML과 JavaScript 정도가 있다는 알아두자.

5) API: API는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들 간 어떻게 정보를 주고 받는지를 정해주는 체계라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여러 회사들이 활발하게 협업하는 시대에 API를 통해 앱이나 서비스들 간 연동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택시앱에서 구글이나 네이버 지도를 사용하고, 쇼핑앱에서 카카오로 로그인 하는 등 이런 협업은 API를 열어주었기 때문에 가능하다. 오픈 API라고 하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게 공개된 API라는 뜻이다.

6) SDK: SDK는 Software Development Kit의 약자로 말 그대로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이다. 그래서 API, 디버깅 프로그램, 문서 등을 모아둔 개발 꾸러미라고 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하려면 개발자 사이트에서 안드로이드 SDK를 다운받으면 된다.

7) 하스와 싸스: 하스(Haas)는 hardware as a service, 싸스(Saas)는 software as a service라는 의미로 어떤 제품을 구독 방식으로 사용한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정수기나 안마의자 같은 하드웨어를 사는게 아니라 월정액을 내면서 사용한다면 하스, 포토샵이나 오피스 같은 소프트웨어를 월정액을 내면서 사용한다면 싸스이다.

8) 매터와 스레드: 매터(Matter)는 여러 회사들이 만든 스마트홈 기기들을 쉽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려는 새로운 IoT 표준이다. 구글, 애플, 삼성, 아마존 등이 지원하고 개발하고 있는 표준이라 매터 덕분에 한동안 정체되었던 스마트홈 시장이 뜨거워지고 있다. 그리고 매터를 지원하는 스마트홈 기기들이 (와이파이, 블루투스와 함께) 사용하는 새로운 연결 기술이 스레드(Thread)이다.

9) 마지막으로 한국에서 특히 한국 언론에서 정말 자주 사용하는 4차 산업혁명이란 표현은 한국 밖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개념도 모르니 외국분들과 교류하거나 일할 때 주의하자.